카테고리 없음

"존재론"

어설픈 철학 2025. 7. 5. 16:38

🔹 1. 정의

존재론(Ontology): 존재의 본질, 구조, 범주를 연구하는 철학의 한 분야.
→ "무엇이 존재하는가?", "존재하는 것은 어떤 방식으로 존재하는가?" 등을 질문함.


🔹 2. 주요 질문

  • 어떤 것이 실제로 존재하는가?
  • 물리적인 것과 비물리적인 것(예: 마음, 개념)은 같은 방식으로 존재하는가?
  • 존재하는 것들을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?

🔹 3. 주요 관점

입장설명
실재론(Realism) 객관적 현실이 존재한다고 봄. 예: 플라톤의 이데아
유명론(Nominalism) 보편자는 이름뿐이며, 개별적인 것만 실재한다고 봄
관념론(Idealism) 정신이나 의식이 궁극적인 실재라고 봄
물리주의(Physicalism) 오직 물질적인 것만이 존재함
 

🔹 4. 현대 존재론

현대에는 인공지능, 정보학, 언어학 등에서도 존재론을 차용하여 **"사물과 개념의 분류체계"**를 만드는 데 사용합니다. 예: 시맨틱 웹의 온톨로지(ontology)는 개념 간 관계를 표현함.

 

🧭 존재론의 역사적 전개

🏛️ 1. 고대 존재론

사상가주요 개념
파르메니데스 “존재하는 것은 존재하고, 존재하지 않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.”
→ 존재는 하나이며 변하지 않음 (변화 부정)
헤라클레이토스 “모든 것은 흐른다.”
→ 변화야말로 존재의 본질
플라톤 이데아론: 감각 세계는 불완전, 참된 존재는 영원한 ‘이데아’에 있음
아리스토텔레스 존재는 **형상(형태)과 질료(물질)**의 결합
→ 존재를 10가지 범주로 분류 (실체, 성질, 양, 관계 등)
 

🏰 2. 중세 존재론

사상가주요 개념
아우구스티누스 존재는 신(神)으로부터 유래함
→ 영원불변한 신이 참된 존재
토마스 아퀴나스 존재는 신의 본질이며, **개별 존재는 참여(Participation)**를 통해 존재함
보편논쟁 실재론 vs 유명론:
보편 개념(예: ‘인간성’)이 실제로 존재하는가?
 

🕊️ 3. 근대 존재론

사상가주요 개념
데카르트 “나는 생각한다, 고로 존재한다”
의식/정신이 존재의 근거
스피노자 신=자연=존재
→ 하나의 실체가 다양한 양태로 나타남
라이프니츠 우주는 무수한 ‘모나드’라는 정신적 단위로 구성
 

🧠 4. 현대 존재론

사상가주요 개념
칸트 ‘존재’는 개념이 아닌 판단의 형식
→ 인식 주체의 조건이 중요
헤겔 존재 → 무 → becoming (변증법)
→ 존재는 끊임없는 자기 전개 과정
하이데거 “존재는 존재자와 다르다”
‘존재 자체’의 의미를 묻고, 인간(다제인)이 그것을 드러냄
사르트르 실존주의: 인간은 먼저 존재하고, 그다음 의미를 부여함
→ 자유와 책임 강조
 

💡 5. 20세기 이후 (응용 존재론)

  • 분석철학: 언어와 논리를 통해 존재 개념 정밀 분석 (예: 퀸)
  • 정보과학/AI: 존재론(ontology)을 지식 분류체계로 활용 (시맨틱 웹