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테고리 없음

"진리"는 참이다

어설픈 철학 2025. 7. 6. 10:00

"진리는 참이다" — 이 말은 철학에서 진리의 최소 조건이며,

진리라는 개념을 성립시키는 출발점입니다.
하지만 철학에서는 여기서 멈추지 않고 더 깊이 묻습니다:


"그 ‘참’이란 무엇인가?"
"어떤 기준으로 ‘참’이라고 말할 수 있는가?"
"참과 지식은 어떻게 연결되는가?"

 

        

✅ 1. 진리 = 참인 명제

  • 철학자들은 진리를 일반적으로 명제(proposition)의 성질로 다룹니다.
  • 어떤 명제가 “참이다” → 그것이 진리이다

🧠 예:

  • “물은 100도에서 끓는다” → 참인 명제 → 진리
  • “지구는 평평하다” → 거짓 → 진리 아님

🔁 그런데 철학자들은 이렇게 질문합니다:

"어떤 명제가 참이라는 건 어떻게 알 수 있는가?"
→ 여기서부터 다양한 진리 이론들이 나옵니다:

진리 이론참의 기준
대응 이론 명제가 현실/사실과 일치할 때 참
정합 이론 명제가 논리적으로 모순 없이 체계에 들어맞을 때
실용 이론 명제가 삶에서 작동하고 효과적일 때
구성주의 참이라는 것도 사회적/언어적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음
 

📚 지식의 맥락에서 다시 보면:

  • 내가 어떤 명제를 믿고 있다 하더라도,
    그것이 참이 아니라면, 그것은 지식이 아니라 오해, 착각일 뿐입니다.

→ 그래서 철학자들은 “**진리(=참)**는 지식이 되기 위한 필수 요건”이라고 말합니다.


진리는 ‘참인 것’이다. 하지만 철학에서는 그 ‘참’이 무엇이며,

어떻게 판단할 수 있는지를 끝없이 묻고 탐구합니다.

 

그래서 철학은 **"진리 = 참"**이라는 직관적 명제를
더 정확히, 더 깊이, 더 엄밀하게 정의하려는 지적 여정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.

 

 “참"은 "사실"이나 이치에 어긋남이 없는 것입니다.

 

이 말을 철학적으로 풀어보면 다음과 같은 요소로 나눌 수 있습니다:

요소의미철학적 해석

 

 

사실 현실에 존재하는 실제 대응 이론: 참은 현실과의 일치
이치(理) 사물과 세계가 돌아가는 바른 원리 자연법칙 / 도덕법칙 / 천리
조금도 어긋남이 없음 완전한 일치, 모순 없음 정합성 / 완전성 / 불모순성
 

🧠 서양 철학과 연결

  • 아리스토텔레스: "진리란, 있는 것을 있다 하고, 없는 것을 없다 하는 것이다"
    → 현실과 정확히 일치해야 ‘참’
  • 칸트: 인간 이성의 구조에 맞는 보편적, 필연적 지식이 참
    이치에 어긋나지 않는 것이 곧 진리

🈶 동양 철학과 연결

  • 주자(주희):
  • 진리는 천리에 근거한다
    → 이치(理)에 맞는 것이 참이며, 그것이 곧 도(道)이다
  • 왕양명:
  • “지(知)는 행(行)을 떠나지 않으며, 앎은 마땅한 이치를 아는 것이다
    → 참은 단순한 정보가 아니라, 실천 가능한 이치의 앎

🔎 정리된 정의 (철학적 표현)

"참이란, 세계의 사실과 이치에 완전히 부합하며,
모순이나 어긋남 없이 조화를 이루는 상태를 말한다."

 

이 정의는 다음 세 가지 기준을 모두 포함합니다:

  1. 객관적 사실성과 일치 (사실에 맞는가?)
  2. 이성적·도덕적 이치에 부합 (논리적, 도덕적으로 바른가?)
  3. 내적 모순이 없음 (스스로 붕괴되지 않는가?)

📚 마무리

 “참은 사실이나 이치에 조금도 어긋남이 없는 것”은
철학적으로 매우 고전적이면서도 깊이 있는 진리 정의입니다.

  • 그것은 현실에 맞아야 하며(사실), 도리에 맞아야 하며(이치), 조금도 모순되어선 안 됩니다.